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

건축기사, 공기업 건축직 준비문제 - 염무제 1탄 25제 건축기사 및 공기업 건축직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문제를 좀 만들어봤습니다. 일부 기사문제 및 공기업 건축직 복원본에서 가져왔구요. 해설은 게시물에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너무 늦었네요 전체 답지부터 공유하고 시작할게요! 1 2 3 4 5 6 7 8 9 10 1 3 1 1 3 5 3 1 2 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3 3 4 2 1 4 5 3 3 4 21 22 23 24 25 1 5 4 3 1 1번 문제 답 4번 시멘트강도(K)를 묻고 있는 문제입니다. 400 : 조강포 370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A종, 플라이애시 A종, 실리카 A종 350 : 고로 B종, 중용열 320 : 플라이애시 B종, 실리카 B종으로 시멘트 강도가 가장 작은 것은 1번인.. 2023. 6. 15.
건축시공(공기업 건축직, 기술사 공부) - 크리프(creep) 정의 크리프란 일정한 지속 하중 하의 있는 콘크리트가 하중은 변함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변형이 점차로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건축 구조물 설계와 시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징 크리프 현상은 동일한 콘크리트 내에서 응력에 대한 크리프 진행이 일정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이는 콘크리트의 재령에 따라 발생하는데, 재령기간이 짧을수록 크리프 진행이 빨라집니다. 보통 3개월에 전체 크리프의 50%가 완료되며, 1년에 80%까지 완료됩니다. 또한, 온도가 20~80℃ 범위에서 온도 상승에 비례하여 크리프가 발생하며, 응력을 제거하면 일정 정도의 복구가 가능합니다. 크리프 증가요인 크리프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여러 요인들이 작용합니다. 첫.. 2023. 6. 15.
무량판 구조 중 플랫 슬래브와 플랫 플레이트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량판 구조에 대해 설명 드리려고 합니다. 정의 ​무량판 구조는 건축물의 뼈대를 구성하는 방식 중 하나로, 수직재의 기둥과 수평 구조 부재인 슬래브로 구성됩니다. 플랫 슬래브와 플랫 플레이트는 무량판 구조에서 자주 나오는데, 이 두 가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플랫 슬래브는 보(beam)가 없이 기둥과 슬래브로만 구성되는 구조입니다. 이로 인해 층고가 낮아지고 많은 층수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플랫 슬래브에서는 슬래브의 휨 모멘트가 부재의 길이에 일정하게 분포되지 않으며, 기둥에 가까울수록 모멘트가 크게 집중되고, 슬래브 중앙부에는 모멘트가 작게 분포합니다. 또한 플랫 슬래브는 2방향 구조이므로 바닥의 주철근은 2방향으로 배근해야 합니다. ​ 이렇게 라멘구조와 무량판 구조의.. 2023.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