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 건축기사, 공기업 건축직 준비문제 - 염무제 1탄 25제 건축기사 및 공기업 건축직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문제를 좀 만들어봤습니다. 일부 기사문제 및 공기업 건축직 복원본에서 가져왔구요. 해설은 게시물에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너무 늦었네요 전체 답지부터 공유하고 시작할게요! 1 2 3 4 5 6 7 8 9 10 1 3 1 1 3 5 3 1 2 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3 3 4 2 1 4 5 3 3 4 21 22 23 24 25 1 5 4 3 1 1번 문제 답 4번 시멘트강도(K)를 묻고 있는 문제입니다. 400 : 조강포 370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A종, 플라이애시 A종, 실리카 A종 350 : 고로 B종, 중용열 320 : 플라이애시 B종, 실리카 B종으로 시멘트 강도가 가장 작은 것은 1번인.. 2023. 6. 15. 건축시공(공기업 건축직, 기술사 공부) - 크리프(creep) 정의 크리프란 일정한 지속 하중 하의 있는 콘크리트가 하중은 변함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변형이 점차로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건축 구조물 설계와 시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징 크리프 현상은 동일한 콘크리트 내에서 응력에 대한 크리프 진행이 일정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재령에 따라 발생하는데, 재령기간이 짧을수록 크리프 진행이 빨라집니다. 보통 3개월에 전체 크리프의 50%가 완료되며, 1년에 80%까지 완료됩니다. 또한, 온도가 20~80℃ 범위에서 온도 상승에 비례하여 크리프가 발생하며, 응력을 제거하면 일정 정도의 복구가 가능합니다. 크리프 증가요인 크리프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여러 요인들이 작용합니다. 첫.. 2023. 6. 15. 무량판 구조 중 플랫 슬래브와 플랫 플레이트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량판 구조에 대해 설명 드리려고 합니다. 정의 무량판 구조는 건축물의 뼈대를 구성하는 방식 중 하나로, 수직재의 기둥과 수평 구조 부재인 슬래브로 구성됩니다. 플랫 슬래브와 플랫 플레이트는 무량판 구조에서 자주 나오는데, 이 두 가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플랫 슬래브는 보(beam)가 없이 기둥과 슬래브로만 구성되는 구조입니다. 이로 인해 층고가 낮아지고 많은 층수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플랫 슬래브에서는 슬래브의 휨 모멘트가 부재의 길이에 일정하게 분포되지 않으며, 기둥에 가까울수록 모멘트가 크게 집중되고, 슬래브 중앙부에는 모멘트가 작게 분포합니다. 또한 플랫 슬래브는 2방향 구조이므로 바닥의 주철근은 2방향으로 배근해야 합니다. 이렇게 라멘구조와 무량판 구조의.. 2023. 6. 15.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