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계약은 많은 사람들에게 중요한 결정을 요구하는 과정입니다. 이때 몇 가지 유의해야 할 사항과 특약사항이 존재하여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세 계약 시 주의해야 할 사항과 특약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전세 계약 유의사항
- 등기부등본 확인: 전세 계약 전 등기부등본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 문서에는 건물의 중요한 사항들이 기재되어 있어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매수인 정보 확인: 전세 계약 시 매수인의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매수인이 개인인지 법인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법인인 경우 부도 처리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법인 소유 물건에 대한 주의: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은 위험하면 부도 처리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법인 소유 물건은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근저당권, 압류, 가압류
- 근저당권 확인: 전세 계약 시 근저당권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근저당권은 주택 담보 대출 등으로 인해 빚이 남아있는 경우입니다. 매매가 대비 60%를 적정선으로 생각하며, 근저당금이 적은 것이 유리합니다. 또한 보증보험 가입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압류 및 가압류: 압류나 가압류는 처분을 못하므로 전세를 줄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상대방의 압류나 가압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 특약사항
전세 계약 시 특약사항은 계약의 조건을 구체화하고 양도 가능성을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몇 가지 중요한 특약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대출 거절 시 무효화: 임차인이 대출 신청이 거절되면 계약이 무효화되고 임대인은 즉시 계약금을 반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임차인은 안정적인 대출을 받을 수 있는 확신을 갖게 됩니다.
- 보증금 잔금 처리: 임대인은 임대차 보증금 잔금을 받은 후 5일 이내에 임대차 목적물을 매도하거나 근저당권 등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계약은 무효화되며 임대인은 즉시 계약금을 반환해야 합니다. 이 특약은 임차인의 안정적인 계약 유지를 보장하기 위한 조항입니다.
- 수선 의무: 임대인은 주요 구성부분이나 기본 설비의 수선 의무를 부담합니다. 보일러, 상하수도, 전기시설 등에 대한 수선은 임대인의 책임입니다. 이를 통해 임차인은 건물의 안전과 편의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소모품 수선 의무 분담: 임차인은 1만 원 이상의 비용을 요하는 소모품 교체나 소규모 수선을 부담하고, 1만 원을 초과하는 비용을 필요로 하는 기타 수선 의무는 임대인이 부담합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책임을 명확히 분담하여 갈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위의 내용은 전세 계약 시 유의해야 할 사항과 특약사항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를 참고하여 전세 계약 시 신중한 판단을 할 수 있길 바랍니다.
※ 본 글은 일반적인 내용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제 계약 전에는 법적인 조언을 받거나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건축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단 사태에 대한 고찰(무량판 구조[플랫 플레이트]) (1) | 2023.07.20 |
---|---|
2023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건축직 시험후기 및 필기합격 예상커트라인 (0) | 2023.07.03 |
PSM 12대 구성요소 (0) | 2023.06.22 |
2023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상반기 건축직 시험후기(필기 예상컷) (3) | 2023.06.17 |
2023년도 건축설비기사 일정 및 장점(필수암기사항 자료 포함) (0)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