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 건축법 시행령 제14조(용도변경 및 시설군 분류)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법 시행령 제14조(용도변경 및 시설군 분류)에서는 어떤 문제들이 자주 나오고 어떤 것을 외워야 할지 조금 팁을 드리고자 합니다. 주로 면적별로 시설군을 다르게 나누거나, 허가 기준, 신고 기준으로 문제가 나옵니다. 그러나.. 시설군으로 나오는건 기사시험 정도의 난이도구요. 사실 공기업에서 문제를 낸다면... 개념확인용으로는 나올 수 있으나 변별력을 요한다면 보통 분류까지 응용되어 나오는 편입니다. 200㎡ 의 단란주점 -> 수련시설은 보통 생각하기에 근린생활에서 교육 및 복지로 가는 거 같아 허가를 받아야하지 않나..? 라고 생각이 되지만 사실 200㎡ 의 단란주점은 150㎡이상이기에 위락시설로 분류됩니다. 그러니 신고가 되겠죠. 이렇게 꼬아서 내는 문제들이 많으니 면적별 용도 .. 2023. 7. 7. 건축법 제64조(승강기의 대수산정) 및 일주시간으로 대수산정 문제풀이 자 오늘은 승강기의 대한 법령해석과 더불어 일주시간을 통해 대수산정을 하는 방법을 같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건축법 [시행 2023. 6. 11.] [법률 제18935호, 2022. 6. 10., 일부개정] 6층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 승객용 승강기 설치 높이 31미터를 초과하는 건축물 -> 비상용 승강기 설치 판매영업, 의료, 문화집회(공연 관람) -> 2대 + (6층 이상의 각 바닥면적의 합계 X - 3000㎡ / 2000㎡) 업무, 숙박, 위락, 문화집회(전시장, 동물원) -> 1대 + (6층 이상의 각 바닥면적의 합계 X - 3000㎡ / 2000㎡) 공동주택, 교육, 복지 -> 1대 + (6층 이상의 각 바닥면적의 합계 X - 3000㎡ / 3000㎡) 지상 12층 .. 2023. 7. 6. 2023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건축직 시험후기 및 필기합격 예상커트라인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자산관리공사 필기후기를 좀 말씀드리려고 왔씁니당 우선 시험쳐본 결과... 트렌드가 좀 많이 바뀐 거 같아요. 예전에는 좀 숫자놀이로 지엽적이었다면 이젠... 아예 못본문제들이 많이 나왔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타공기관과 다르게 예측이 좀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제가 기억나는 건 한국전통건축에서 서까래를 받치기 위해 기둥과 기둥을 건너서 얹이는 목재 서양건축사의 플루팅? 서양건축물 건축가 잘못 이어진 것 방청도료 일명 테이블폼 포틀랜트시멘트 1-5종 배열 순서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시 후속 작업의 가장 빠른 개시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행작업의 여유시간 등등 나왔는데 .. 사실 쉬운 문제는 엄청 쉬웠고, 어려운 문제는 아예 모를만큼 난이도 차이가 심했습니다. 그래도 열심히 하면 언.. 2023. 7. 3. 반응수정계수 요즘 공기업 시험문제에 반응수정계수가 고난이도 문제로 많이 나옵니다. 아무래도..... 비슷비슷한 부분이 많아 외우기도 힘든게 사실입니다 ㅠ 하지만 외워봐야겠죠? 최대한 효율적으로 외울 수 있도록 정리 해 봤습니다. 보통 문제에서는 제일 큰것을 고르라는 문제가 많이 나옵니다. 그 중 건물골조로 엮을때도 있고, 모멘트 저항골조 시스템 중에서 출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실 이걸 하나하나 다 외우는 건 어렵겠구요. 어느정도 공식화만 시켜놓으면 충분히 점수취득 하실수 있을거라 확신합니다. 내력벽 시스템 철근콘크리트 특수전단벽 - 5 철근콘크리트 보통전단벽 - 4 철근보강 조적 전단벽 - 2.5 무보강 조적 전단벽 - 1.5 내력벽은 특수로 가야됩니다. 건물골조시스템 철골 편심가새골조 - 8 철골 좌굴방지가새골.. 2023. 6. 29.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