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

상실의 시대(원제 : 노르웨이의 숲)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구절 "어깨의 힘을 빼면 몸이 가벼워진다는 것쯤은 나도 알고 있어. 그런 말은 해봤자 아무 도움도 안 된다고. 알겠어? 만약 내가 지금 어깨 힘을 뺀다면 나는 산산조각이 나버린단 말이야" "어째서 그런 걸 모르는 거야? 그걸 모르면서 어떻게 나를 돌봐준다고 말할 수 있는거야?" -21page- 모든 사물을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 것, 모든 사물과 나 자신 사이에 적당한 거리를 둘 것 - 그것뿐이었다. -45page- 죽음은 삶의 반대편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로서 존재하고 있다. 그러니까 읽는 거야. 다른 사람과 똑같은 걸 읽고 있으면 다른 사람과 똑같은 생각밖엔 못하게 돼. 그런 건 촌놈, 속물의 세계야. -55page- 사람들을 이끌어 낙천적으로 앞으로 쑥쑥 나아가면서도 그 마음은 고독하고 음울한.. 2023. 11. 11.
이럴거면 후분양을 하지 왜 선분양을 해?(후분양의 장단점) 이번 LH 사태와 많은 붕괴사건들이 있으면서, 선분양이 문제다 라고 의견을 제시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과연 후분양이 일반 시민인 저희들한테 좋은 영향을 미칠까요? 보통 건설사 마진은 뭐 한 30% ~ 40% 가져가시는 걸로 많이 오해하시는데 ...아닙니다. 사실 5%정도 수익 남기면 선방한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 그럼, 후분양을 한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민간 후분양을 한다는 가정 1. 자산규모가 큰 건설사만 분양에 나섬 ->작은 중소기업은 건물을 순수 대출없이 자기돈으로 지을 수 있는 업체는 .. 제가 생각하기엔 TOP 5 대형건설사 밖에 없을겁니다 2. 인기많은 지역에만 아파트를 건설하게 된다. -> 선분양이 아니니 건설사 입장에서도 돈을 못빌릴 거고(원래는 입주권을 보증으로 대출을 .. 2023. 8. 3.
LH, 검단 붕괴, 무량판 구조, 전관 업체?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TOP5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일반적인 국민들이 잘 모르시는 ? 생소한 개념들을 조금 설명드리고, 요즘 이슈에 대해 얘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왜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는지 확인하고 대책을 세우고, 기본적인 건축적인 상식을 알려드리고자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1. 철근은 많이 넣을 수록 좋다는 오해 만약 누군가가 집을 지을때 철근을 많이 넣을까요? 적당히 넣을까요? 하면 대부분의 일반사람들은 많이 넣어주세요! 할겁니다. 하지만 이건 굉장히 위험하고 무서운 얘기입니다. 철근을 많이 넣는 것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닙니다. 건축물에서 콘크리트와 철근은 보완 관계에 있습니다.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부담하고, 철근은 인장력을 보강합니다. 적절한 비율로 배치해야 합니다. 비유를 하자면, 철근과 콘크리트가 균형있게 들어간 경우에는 .. 2023. 8. 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제38조(개발제한구역의 지정),제39조(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 제40조의2(입지규제최소구역의 지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38조(개발제한구역의 지정),제39조(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 제40조의2(입지규제최소구역의 지정) 요렇게 3가지를 비교해보겠습니다. 다 비슷비슷한 뜻인거 같지만 조금씩 다르고, 시험에서 잘 잡아내야 할 키워드는 무엇인지 같이 살펴보도록 하죠. 첫 번째인 개발제한구역의 지정입니다. 개발제한구역 = 그린벨트 개발제한구역(Green Belt; GB)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자연환경 및 생태계를 보존하며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장관이 결정하여 지정 또는 변경하는 지역을 말합니다. 개발제한구역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도시가 무질서하게 확산되거나 서로 인접한 도시가 시가지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지역.. 2023. 7. 29.